악성 림프종은 크게 호지킨 림프종(Hodgkin’s lymphoma, HL) 과 비호지킨 림프종(non-Hodgkin’s lymphoma, NHL)으로 구분된다.
전체 림프종의 85~90%가 비호지킨 림프종이고,
국내에는 약 95%가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굉장히 큰 퍼센트를 차지한다.
1) 비호지킨 림프종 발생 부위
주로 림프절에 발생하나, 림프절이 아닌 위, 소장, 대장, 피부 등 온몸의 모든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.
2) 분류
(1) 림프종의 기원에 따라,
- B 세포
- T 세포
- NK 세포 림프종
등으로 분류된다.
이 중에서 B 세포 림프종이 약 80%를 차지하고 있다.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(B-cell NHL)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(diffuse large B cell lymphoma, DLBCL)이 전체 비호지킨 림프종의 30-40%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
(2) 병의 진행 속도에 따라,
- 공격형 림프종(aggressive lymphoma)
- 저위험군 림프종(indolent lymphoma)
로 분류된다.
3) 치료방법
저위험군 림프종
국한된 병기를 가진 1, 2 기의 저위험군 림프종의 경우 국소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, 3, 4 기의 저위험군 림프종의 경우 단클론항체(예: rituximab) 단일요법 또는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을 시행한다.
공격형 림프종 공격형 림프종
복합항암화학요법이 기본적인 치료이며, 병기가 낮은 경우에는 4 회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국소방사선치료로 종결하는 경우가 많고, 전신적으로 침범한 3, 4 기의 악성도가 높은 림프종은 6-8 회의 복합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한다.
가장 처음으로 시행하는 항암 요법은 복합항암요법의 표준인 R- CHOP 요법이다. CHOP(cyclophosphamide, adriamycin, vincristine, prednisone)에 rituximab 을 병합한 치료방법이다.
공격형의 악성 림프종 또는 재발 후 구제화학요법에 반응을 보이는 악성 림프종의 경우, 고용량 항암제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한다.
최근에는 Kymriah, Yescarta와 같은 CAR-T 세포치료제가 승인되어 다른 약제로도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재발성/불응성 림프종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. 21 NK 세포 치료제의 경우 국내∙외에서 진행된 여러 연구를 통해 혈액암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,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.
'Oncolog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발성 골수종(multiple myeloma, MM) (0) | 2024.10.27 |
---|